채종원 실태조사 및 관리체계 고도화 연구(2022년 수행과제)




국립산림품종관리센터 


위탁연구기관명 (사)더좋은나무만들기

책 임 연 구 원 : 한 상 억

연 구 원 : 최 완 용

노 은 운

이 병 실

황 석 인


Ⅰ. 연구개요

효율적 채종원 조성관리의 요체인 유전적 특성, 입지환경 요소, 운영관리 상태 등을 근거로 결과의 신뢰도 및 활용성 향상을 위한 지표 발굴 및 기준을 설정. 설정된 다양한 지표에 의한 현존 채종원에 대한 실태조사 및 조사결과를 토대로 채종원 운영·관리체계 고도화 및 중·장기 계획 수립에 필요한 기술적·제도적 개선방안을 모색함


Ⅱ. 연구내용 및 범위

개별 채종원(156개)에 대한 채종목 유전특성, 입지환경요소, 채종원 운영․관리 및 종자생산 잠재력을 조사하여 실태조사 내용을 유형별로 구분하여 채종원 운영․관리 지침서로 활용


Ⅲ. 주요 연구결과

6권역 156개 개별 채종원에 대한 4범주 23지표를 분석한 결과 유전특성 범주중 채종원 내력 지표에서는 춘천, 안면, 제주 등이 평균 이상의 좋은 값을 나타냄. 입지환경요소는 안면, 제주 순으로, 채종원 운영․관리요소는 안면, 강릉 순으로 우수하게 나타남. 종자생산 잠재력 역시 주 조림수종인 소나무가 주 수종인 안면, 편백이 주 수종인 제주 순으로 양호하게 나타남. 채종원 내력은 유전가치, 채종목 규모 등과 채종목 관리는 채종목 생장상태, 수관․지 상태, 관리주체 역량 등과 유의적 상관성을 보임. 일반관리의 핵심지표인 식생상태, 병충해관리, 산재도 등 3지표(평균 값)와 종자생산 잠재력 범주에서는 채종목 상태, 수관․지 형태, 광환경 등 3지표(평균 값)를 통합하여 유형화 함. 우량급인 4이상, 불량급인 2미만, 중간급 2이상~4미만인 3구간(9등급)으로 구분하여 유형급에 맞는 관리방안을 제시함. 특히, ‘유형 7’과 정밀조사대상에서 제외된 채종원은 재조성 또는 신개념 채종원 후보지로 활용 할 방안 검토


Ⅳ. 연구결과 활용계획

개별 채종원의 유형 구분 결과 유형에 맞게 일반관리와 종자 생산 잠재력을 획기적으로 개선하고, 수종 선정 및 육종집약도 설정, 건전 채종목 양성, 적절 기저 집단 확보 등에 활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