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령기 채종원 실태조사 및 집약관리 실무 매뉴얼 개발(2023년 수행과제)







요약문

1. 연구 개요

  ○ 채종원 실태조사를 통하여 채종원 운영·관리체계의 고도화 및 중장기 발전계획 마련에 필요한 기술적·제도적 기본자료 확보

  ○ 체계적 모니터링의 척도인 종자 생산에 영향이 큰 채종목 유전적 특성, 입지환경 요소, 채종원의 운영·관리와 성과물인 종자생산 잠재력 등 4개 범주의 적절한 지표 설정 및                그 기준의 매뉴얼화

  ○ 조사결과 지표·지수분석으로 개별 채종원 수준의 운영·관리를 위한 진단맵 작성 및 채종원 운영·관리와 종자생산 잠재력 범주의 핵심지표를 결합하여 채종원의 관리 유형(9개)             구분 및 관리 방안 모색

  ○ 부실채종원에 대한 재생사업을 통하여 종자생산 잠재력 향상과 동시에 유용활엽수와 혼효채종원 조성 등 신개념 채종원에 대한 발전방안 제안


2. 주요 결과

가. 적정 지표개발 및 설정기준의 매뉴얼화

  ○ 채종원으로부터 양질의 종자 생산에 영향이 큰 유전적 특성, 입지환경 요소, 운영·관리와 이들의 성과물로 나타나는 종자생산 잠재력 등 4 범주에 대한 25개 지표 선정

  ○ 선정 지표의 현장 적용 가능한 기술지침 형식의 매뉴얼화

<실태조사에 적용된 범주별 주요지표>

범 주

주요 지표

채종목 유전 특성

(1) 채종원 내력 (2) 채종목 유래 (3) 유전적 가치

(4) EPS (5) 임의교배 (6) 유전 다양성 (7) 화분오염

입지환경 요소

(1) 생육권역 적합도 (2) 토양조건 (3) 기상 요소

(4) 지형요소 (5) 지리(地利) 요소

채종원 운영관리

(1) 채종원 규모 (2) 식생상태 (3)병충해 관리 등

(4) 채종목 관리 상태 (5) 인력확보 (6) 채종목 밀도

(7) 산재도 (8) 관리주체 역량

종자생산 잠재력

(1) 채종목 생장 상태 (2) 수관·지 상태 (3) 광환경

(4) 종자 생산량 (5) 개화·결실량






나. 실태조사 결과 개요

○ 현장 실사를 거쳐 지표별 모니터링 결과를 일목요연하게 파악이 가능한 개별 채종원에 대한 명세서인 운영관리 진단맵 작성 ⇒ 수시 변동 사항 update로 효율적 채종원 운영 체제 구축





다. 채종원 권역별 조사 결과

○ 통합지표의 권역별 평균값에서 6개 거점 채종원의 경우 안면이 4.04로 가장 높고 이어서 춘천(3.71), 제주(3.69) 순임. 안면과 춘천권역은 제1기 후반인 1977년에서 1983년간에 조성된 채종원으로 전반기의 시행착오에 대한 보완 등으로 유리한 조건을 갖춤.

○ 제주권역은 채종원 내력의 기본 형태는 충주권역과 유사(제1, 2, 3, 4기 포함)하나 상당수의 채종원이 기본여건 미흡으로 정밀조사에 제외된 결과로 춘천, 충주권역보다 상대적으로 높음.

○ 충주권역은 채종원 사업의 중심지(전임목육종연구소 중부육종장)로 제1기 전반기, 제2기, 제3기 등 전 기간에 걸쳐 조성된 채종원으로 안면, 춘천, 강릉 등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저조한 값임.

○ 강릉권역의 경우 대부분 제1기 전반기에 조성된 채종원과 제2기, 제3기에 추가로 조성된 채종원으로 비교적 단조로운 수종 구성이며 전반적인 지표에서는 보통수준(3.38)을 보임.

○ 수원권역은 제2기 활엽수종 및 다목적 채종원 조성사업의 중점지역으로 인한 소면적, 중간 정도의 육종집약도 적용에 따른 원천적 요소는 물론, 채종원 운영·관리와 같은 지표에서도 불리하게 반영됨.

○ 2013년부터 사업을 시작한 인제, 고창, 사천 등 원격지 채종원의 평균값은 3.58로 전체 평균에 근접하나, 높은 비율의 정밀조사 대상 제외, 채종원 사업 관련 인프라의 미흡, 제한된 단위 채종원 수 등으로 직접 비교에는 한계가 있음.


3. 조사결과 유형구분 및 관리방안

가. 관리 유형 구분

○ 채종원 운영·관리와 종자생산 잠재력 범주간 일관성 및 연관성을 지닌 핵심 지표인 식생상태, 병충해 방제와 같은 보호관리, 산재도 등 운영관리범주 3지표, 종자생산 잠재력 범주의 채종목 상태, 수관·지 형태, 광환경 등 3지표를 조합하여 아래와 같이 유형화함.

<개별 채종원에 대한 관리유형 구분 기준>


유형 6

·운영관리: 2미만

·종자생산: 4이상


유형 3

·운영관리: 2이상∼4미만

·종자생산: 4이상


유형 1

·운영관리: 4이상

·종자생산: 4이상


유형 8

·운영관리: 2미만

·종자생산: 2이상∼4미만


유형 4

·운영관리: 2이상∼4미만

·종자생산: 2이상∼4미만


유형 2

·운영관리: 4이상

·종자생산: 2이상∼4미만


유형 9

·운영관리: 2미만

·종자생산: 2미만


유형 7

·운영관리: 2이상∼4미만

·종자생산: 2미만


유형 5

·운영관리: 4이상

·종자생산: 2미만




○ 정밀조사 대상에 포함된 210개 개별 채종원에 대한 9개 유형의 구분결과 분산도는아래 그림과 같음.

○ 관리 유형은 지역 간, 지역 내 개별 채종원, 채종원 조성 내력 등에 따라 다양한 양상을 보임. 안면권역은 전체 12개소 중 6개소가 ‘유형 1’(구성율, 50%)에 속하고, 충주(5.7%), 수원(0%) 등은 매우 저조함.

○ 양 범주 핵심지표 간 위험수준인 7, 8, 9유형에 속하는 개별 채종원으로는 SWQV96, CCLL80, KRBP88, CJQR04, CJFR08, CJQP96, OCC17 등 13개소로 대부분 시험림 전환 또는 제2기 조성 채종원임.




나. 유형별 관리방안

○ 유형 1, 2, 3 : 현상태 유지관리 + 부분 취약점 보완(유형 1: 대상 36개소), 일반관리 현상태 유지 + 종자생산 잠재력 범주 전반적 개선(유형 2: 37개소), 종자생산 잠재력 현상태 유지 + 일반관리 전반적 개선(유형 3: 14개소)

○ 유형 4, 5, 6 : 일반관리 + 종자생산 잠재력 범주 전반적 개선(유형 4: 102개소), 일반관리 현 상태 유지 + 종자생산 잠재력 범주 획기적 개선(유형 5; 8개소), 종자 생산 잠재력 현 상태 유지 + 일반관리 범주 획기적 개선(유형 6)

○ 유형 7, 8, 9 : 획기적 개선 ⇒ 재조성 또는 renewal 후보지로 활용

※정밀조사 대상에서 제외된 채종원(85개소)도 ‘유형 7, 8, 9’와 같은 맥락에서 검토되어야 함.


4. 부실 채종원에 대한 발전방안

가. 채종원 재생사업을 통한 운영관리 효율화

○ 저조한 종자생산 잠재력 보유 채종원을 대상으로 재생(renewal)을 통한 입지환경 요소에 민감한 유용활엽수 종자공급원 조성 촉진

○ 채종원 조성·관리 부적절로 종자생산 잠재력이 낮은 채종원(유형 7, 8, 9 및 정밀조사 제외 채종원) 중 재생사업의 명료한 당위성을 나타낼 수 있는 채종원을 설정(1979년 조성 춘천 낙엽송 채종원)하여 시범적용

○ 기대 효과

- 종자생산 잠재력 향상 [현재 1.4 ⇒ 5년 후 3.5 (채종목 상태, 광환경 등 지수 평균)]

- 유용활엽수 채종원 조성 촉매 ⇐ 피나무, 벚나무 등 유용활엽수 민감한 입지환경 요소(양료, 수분, 미기상 등)에 대한 생태적 완충역할

- 신개념의 유용활엽수 혼효채종원 조성의 기술적 문제 극복과 주 수종 종자생산 잠재력 향상 실현으로 상호 보완 및 시너지효과 기대

나. 원격지 채종원 운영·관리에 대한 개선방안

○ 채종원 관련 업무가 국립산림과학원에서부터 국립산림품종관리센터로 독립기관화 된 2008년 이후 역점사업으로 추진된 사업이 기존 6지역 외에 강원 인제, 경남 사천 등 5개소에 신규 조성지로 확보함.

○ 2017년부터 채종원 조성을 착수하여 2023년 현재 23 개소 159.24ha를 조성함. 조사 결과 주관 지소, 입지환경 등과 무관하게 5개소 공히 운영관리 상태에 많은 문제로 대부분 채종원이 더 이상의 채종원으로 역할이 어려울 지경에 이르름.

○ 문제는 지금까지 지적되어온 입지환경 문제, 운영·관리와 같은 기술적·관리적 문제 외에도 또 다른 요소로 채종원 사업과 관련된 인적·사회적 인프라, 경제적 관점의 규모성 등의 문제가 더 큰 영향 요소로 파악됨.

○ 따라서, 원격지 채종원 사업 추진에 앞서 운영·관리에 필요한 조직·인적자원 확보, 컨트럴 타워·리더십 재구축, 사업의 대체 불가성에 대한 당위성, 지역사회와 거버넌스 구축, 투자에 상응한 기대효과, 경제적 관점의 규모성 등 종합적 검토 후 추진을 제안함.


5. 연구결과 활용계획

○ 개별 채종원 수준에서 운영·관리와 관련된 핵심 사항에 대한 지수화 된 진단맵에 대한 프로그래밍을 통해 실시간 모리터링체계 지원

○ 개별 채종원에 대한 운영·관리와 종자생산 잠재력 범주의 핵심지표 각 3개를 결합하여 채종원 관리의 기준이 될 유형(9개) 구분 및 유형별 관리 방안을 제안

○ 종자생산 잠재력 부실 채종원(유형 7, 8, 9 및 정밀조사 제외 채종원)은 재생(renewal)을 통하여 종자생산 잠재력 향상과 동시에 유용활엽수와 혼효채종원 조성 촉성외 win-win전략으로 승화